김유성
Senior Editor

서울 AI 허브, 캐나다 AI 연구소 밀라와 글로벌 공동연구 성과 공개

뉴스
2025.10.023분

서울시의 서울 AI 허브가 캐나다 몬트리올에 위치한 연구기관 밀라 AI 연구소와의 글로벌 공동연구 3주년을 맞아 국내 AI 스타트업의 연구성과를 발표했다고 10월 2일 밝혔다.

Seoul AI Hub
Credit: Seoul AI Hub

서울 AI 허브가 지난 9월 29일 양재동에 있는 메인센터에서 ‘글로벌 공동연구 협력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양 기관이 함께 추진해온 글로벌 공동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현지 연구자의 협력 경험을 직접 들을 수 있는 자리로 마련됐다. 밀라 AI 연구소는 딥러닝 분야 권위자인 요슈아 벤지오가 세운 캐나다 3대 연구소 중 하나다. 

이날 행사에서는 글로벌 공동연구에 참여한 밀라 AI 연구소의 연구자 나자닌 세파반드와 알레한드로 살리나스 메디나가 공동연구 성과와 경험을 발표했으며, 주한 퀘벡정부대표부의 필립 케스넬 정무·공공외교 담당관과 임용우 상무관이 자리해 한국과 캐나다 간 협력의 의미를 강조했다. 

성과 발표에는 드랩, 레졸루션, 보다비, 피아스페이스, 브이다임, 블라스트, 프레쉬아워 등 총 7개 기업이 참여했다. 참여 기업은 밀라 AI 연구소의 전문 연구자와 지난 7월부터 15주간 캐나다 현지에서 일대일로 매칭돼 기술 고도화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드랩은 계층화 된 디자인 파일의 구조적 데이터 변환을 통한 자동화된 광고 배너 생성 및 최적화 방안 연구 성과를, 레졸루션은 비전 AI 기반 PCB-A 검사 자동화 솔루션 개발 연구를, 보다비는 글로벌 수준의 다국어 대화 AI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연구를 각각 발표했다. 브이다임은 단일 사진을 활용한 3D 얼굴 생성 연구를, 블라스트는 멀티 에이전트 기반 AI 자동화 플랫폼 개발 연구 성과를, 프레쉬아워는 펫 PHR 데이터 기반 AI 질환 예측 모델 개발 연구를, 피아스페이스는 CCTV 영상 분석에 최적화된 AI 모델 개발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레졸루션과 공동연구를 진행한 밀라 연구자 세파반드는 “PCB-A 불량 검출은 생산 라인 효율성에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인데, 한국 스타트업과 함께 실제 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으로 짧은 기간 동안 빠른 진전을 이뤄낼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보다비 연구자 메디나도 “다국어 대화 AI 파이프라인 연구가 언어 다양성이 큰 캐나다 연구진과 한국 스타트업의 기술이 결합되며 새로운 시너지를 낼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 한국 스타트업은 빠른 의사결정과 강력한 엔지니어링 실행력을 갖추고 있어 협력 과정에서 큰 배움을 얻었다”라고 설명했다. 

서울 AI 허브와 밀라 AI 연구소는 2023년 파트너십 체결 이후, 기술적 난제를 가진 국내 스타트업이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진과 함께 실제 산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글로벌 공동연구 협력 모델을 운영해왔다. 단순한 연구 협력에 그치지 않고 북미 현지 진출과 글로벌 네트워킹까지 지원하며 한국 스타트업의 글로벌 성장 기반을 마련해 왔다. 

박찬진 서울 AI 허브 센터장은 “서울 AI 허브와 밀라 AI 연구소 간 공동연구 프로그램은 지난 3년간 한국 스타트업과 밀라 연구소 연구자를 연결해 공동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과 글로벌 진출까지 이어졌다. 퀘벡은 세계적 AI 연구와 혁신 협력의 중심지로, 이번 성과공유회는 그동안의 결실을 나누고 앞으로의 혁신 기회를 함께 모색하는 자리”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AI 기술은 파운데이션 모델에서 에이전틱 AI로 진화하고 있으며, 산업 도메인별 AI 응용을 이끄는 스타트업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글로벌 협력을 통해 이러한 혁신은 더욱 고도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dl-ciokorea@foundryco.com

김유성
Senior Editor

CIO 코리아 에디터로 국내외 IT 산업 콘텐츠의 기획 및 취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 클라우드, 보안, AI 등 최신 기술 트렌드 취재를 바탕으로 IT 리더를 위한 맞춤형 콘텐츠를 기획하며 심층 인터뷰, 트렌드 분석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아이디지가 주관하는 행사에 참여해 국내 IT 리더들이 통찰을 나눌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이 저자의 추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