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자동화 엔지니어는 기업의 비즈니스, IT, 개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기 위한 기술을 설계 및 구현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는 기업이 점점 더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자동화는 이미 기업 전반에 깊숙이 자리 잡았다. 스탠퍼드대학의 2025년 연구에 따르면 AI에 대한 미국의 민간 투자 규모는 1,090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중국의 93억 달러보다 12배, 영국의 45억 달러보다 24배에 높은 수준이다. 특히 생성형 AI 투자만 2023년 대비 18.7% 증가한 339억 달러에 달했다. 기업의 AI 도입 속도 역시 빨라져 2024년에는 전체 조직의 78%가 AI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이는 전년의 55%에서 크게 상승한 수치다.
자동화는 AI가 일자리를 대체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논란이 되는 주제이지만, 세간의 인식과 무관하게 이미 기업 현장에서 확실하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산업 전반의 기업은 IT, 비즈니스 개발, 서비스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기 위해 자동화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이런 추세 속에서 자동화 엔지니어의 수요도 급증하며, 기업의 자동화를 기획·관리·감독하는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
자동화 엔지니어의 역할
자동화는 수십 년간 제조업의 핵심 기반이었지만, 비즈니스, 헬스케어, 금융 산업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개념이다. 제조업과 공장 자동화를 제외한 IT 자동화는 주로 서비스 자동화와 자동화 프로세스에 대한 품질 보증(QA) 테스트에 초점을 맞춘다. IT 자동화 엔지니어의 목표는 제품·소프트웨어 개발 과정과 비즈니스 및 고객 서비스 프로세스에서 결함과 오류를 제거하고 문제 발생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기업은 고객 문제를 해결하거나 적절한 담당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자동화 챗봇을 적극 도입하고 있으며, 자동화 엔지니어는 이 기술을 구축, 구현 및 운영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자동화는 IT 헬프데스크 티켓 처리, 서비스 관리에도 활용돼 더 적은 결함으로 고품질 소프트웨어와 제품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궁극적으로 자동화 엔지니어의 목표는 중복되거나 불규칙한 수작업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직원의 부담을 줄이고,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일이다.
자동화 엔지니어가 하는 일
IT 분야에서 자동화 엔지니어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효율성을 높이고 성능을 개선하며,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가를 의미한다. 소프트웨어 자동화 엔지니어는 다른 팀과 긴밀히 협력해 문제를 발견하고 제거하기 위해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프로세스 자동화를 구현한다. 이 과정에서 다루는 대상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고, 때로는 서비스나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동화일 수도 있다.
산업 분야와 기업별 특성에 따라 역할은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동화 엔지니어에게 요구되는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내 자동화 기회를 발굴한다.
- 기능을 자동으로 검증하는 스크립트 기반 QA 테스트를 설계하고 실행한다.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 개발, 서비스, 비즈니스 프로세스에서 버그와 품질 문제를 식별한다.
- 자동화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한다.
- 다른 조직과 협업해 자동화가 워크플로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파악한다.
- 클라이언트, 고객, 엔드유저로부터 요구사항을 수집해 최적의 자동화 솔루션을 도출한다.
자동화 엔지니어링과 AI
자동화는 AI가 등장하기 훨씬 전인 18세기 산업혁명 시대부터 존재해 왔다. 당시에는 기계가 도입돼 육체 노동을 덜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이후 기술 발전과 함께 진화한 로보틱스와 자동화가 여러 산업을 변화시켰다. 오늘날에는 AI가 결합되면서 업무 자동화를 한층 수월하게 하고 사람의 오류를 줄이는 역할까지 수행하게 됐다.
AI는 예측 시스템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도구지만, 자동화 엔지니어링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
대신 AI는 자동화 엔지니어링의 일부 요소로 자리 잡아 사람의 오류와 노동집약적 작업을 줄이고, 데이터 중심 업무를 처리하며 코드 작성, 프로그래밍, 문제 해결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QA 프로세스 일부를 자동화하고 사소한 문제를 인간의 개입 없이 해결해 출시 속도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하지만 기업 네트워크,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을 다루고 문제를 해결할 때는 여전히 사람 엔지니어의 전문 역량이 필요하다.
자동화 엔지니어 연봉 수준
글래스도어(Glassdoor)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자동화 엔지니어의 평균 연봉은 11만 6,000달러 수준이다. 보고된 연봉 범위는 9만 2,000달러에서 14만 8,000달러 사이로 나타났다. 한편, 수석 자동화 엔지니어의 연봉은 12만 5,000달러에서 18만 9,000달러 사이이며 평균 연봉은 15만 3,000달러로 조사됐다.
자료에 의하면 자동화 엔지니어의 연봉이 높은 산업군은 다음과 같다.
- 제약·바이오: 15만 9,047달러
- 미디어·통신: 15만 173달러
- IT: 14만 8,120달러
- 헬스케어: 13만 8,955달러
- 리테일·도소매: 13만 7,843달러
자동화 엔지니어에 요구되는 역량
자동화 엔지니어는 폭넓은 기술적 역량과 소프트스킬을 갖춰야 하며 자신이 다루는 시스템, 네트워크,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전반을 이해해야 한다. 동시에 비즈니스 부서, 클라이언트, 고객과 원활히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는 역량도 중요하다.
이 직무에는 C#, SQL, 자바(Java)와 같은 언어로 코딩 및 프로그래밍하는 능력이 요구되지만, 사용되는 언어나 도구는 산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웹, 데스크톱 운영체제에 대한 실무 지식과 더불어 전기 및 기계 시스템, 데이터 분석, 로보틱스, AI 및 머신러닝 경험도 필요하다.
또한 커뮤니케이션과 팀워크 같은 소프트스킬이 필수이며,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프로세스 개선 방안을 찾아낼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도 중요하다. 또한 부서 간 협업을 주도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최적화해야 하므로 리더십과 프로젝트 관리 역량 역시 필요하다.
이 외에도 자동화 엔지니어에게 요구되는 대표적인 역량으로는 애자일, 클라우드, 데브옵스(DevOps) 경험과 더불어 컴퓨터과학 및 엔지니어링 분야의 전문 지식이 있다.
자동화 엔지니어가 되는 방법
자동화 엔지니어가 되려면 최소한 컴퓨터과학, 엔지니어링 또는 유사 전공의 학사 학위가 필요하다. 학사 과정에는 로보틱스, 데이터베이스, 통계, AI, 제어 시스템, 인공신경망(ANN) 관련 과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직무의 경우 석사 학위와 더불어 수동 및 자동화 테스트 경험이 요구되기도 한다.
자동화 관련 직무는 공학, 과학, IT 분야를 융합하는 경우가 많지만, 필요 역량은 산업마다 달라진다. 따라서 업계별 자동화 엔지니어 채용 공고를 확인해 해당 산업에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동화 엔지니어 유형
IT 분야에 흔한 직무는 QA 자동화 엔지니어지만, 이 외에도 업무 현장에 자동화를 도입하기 위해 서비스와 솔루션을 구축 및 개발하는 다양한 직무가 존재한다. 어떤 직무는 클라우드 중심으로, 또 다른 직무는 특정 도구나 상용 서비스 자동화에 초점을 맞추기도 한다.
각 직무별 역할과 책임은 채용 공고에 따라 달라지며, 자동화 엔지니어는 여러 가지 커리어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페이스케일(PayScale)에 따르면 대표적인 직무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자동화 설계 엔지니어
- 자동화 시스템 엔지니어
- 자동화 스페셜리스트
- 셀레니움 자동화 엔지니어
- 소프트웨어 QA 자동화 엔지니어
- 클라우드 자동화 엔지니어
- 엔드투엔드 자동화 엔지니어
- 테스트 자동화 엔지니어
자동화 도구
자동화 엔지니어링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는 자동화 테스트 소프트웨어다. 이 도구는 기업이 알림을 자동화하고, QA 프로세스를 통합하며, 조직 내 자동화 프로세스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자동화 문제 해결, 리포트 제공, QA 테스트 프로세스 자동화에도 활용된다.
캡테라(Capterra) 자료에 의하면 다음 자동화 테스트 소프트웨어가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액셀Q(AccelQ)
- QA울프(QA Wolf)
- PFLB
- 서브젝트7(Subject7)
- 미스터 수리캣(Mr Suricate)
- 메일리네이터(Mailinator)
- 포스트맨(Postman)
- 매직팟(MagicPod)
- 레인포레스트(Rainforest)
- 람다테스트(LambdaTest)
자동화 관련 자격증
자동화는 비교적 새로운 분야이지만, 최근에는 역량을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전문 자격증이 등장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IT 전반에 걸친 기술적 배경이 필요하며, 일부는 산업별로 특화돼 있기도 하다. 주요 자동화 관련 자격증은 다음과 같다.
- ISA 공인 자동화 전문가(CAP)
- ISA 공인 제어 시스템 기술자(CCST)
- IIST 공인 소프트웨어 테스트 자동화 전문가(CSTAS)
- IIST 공인 소프트웨어 테스트 자동화 설계자(CSTAA)
- ISA 제어 시스템 엔지니어(CSE) 라이선스
- ISTQB 공인 테스터 고급 레벨, 테스트 자동화 엔지니어(CTAL-TAE)
- ISTQB 공인 테스터 보안 테스터(CT-SEC)
- ITSQB 공인 테스터 기초 레벨 애자일 테스터(CTFL-AT)
- QAI 공인 소프트웨어 테스트 준전문가(CAST)
- QAI 품질 보증 연구소 공인 소프트웨어 테스터(CSTE)
- QAI 공인 소프트웨어 테스트 관리자(CMST)
dl-ciokorea@foundryco.com